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2

TCI & Functional Modular Organisation 논문 수락 후기 뇌과학 분야에서 출판한 첫 논문이기에 꼭 후기를 남기고 싶었다. 물리학 분야에서 첫 논문이 출판되었을때 후기를 썼던 것 처럼... 논문의 Manuscript가 대략적으로 완성된 시점은 2012년 12월 쯤으로 기억한다. 데이터 획득부터, 뇌영상 데이터의 분석, 그리고 논문 작성의 전체 과정에 직접 참여했기 때문에 나에게 의미가 더욱 각별하게 느껴지는 논문이다. 이번 연구는 "기질Temperament에 따라서 뇌네트워크의 연결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그로 인해서 서로 다른 모듈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주요 결과로 하고 있으며, 논문 초안의 제목은 으로 정했다. 인성의 외향성은 기질의 위험회피 척도와 자극추구 척도로 구분하는 것이 무리일 수도 있다는 것은 어느정도 예상했고, 특히 성격심리학자들이 보기에는 완전 .. 2014. 7. 19.
Data Analysis (2): Graph Theoretical Analysis in R 수학에서의 그래프 이론(Graph Theory)과 물리학에서의 복잡계 네트워크(Complex Network)는 관련 전공자가 아닌 분야의 사람들에게는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저 또한 수학자도 아니고 물리학자도 아니기에 그래프 이론과 복잡계 네트워크를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두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보시기에는 다른 학문이으로 생각되겠지만, 그래프 이론이나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연구 결과물을 활용하는 연구자들에게는 '그게 그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인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래프 이론과 복잡계 네트워크라는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그래프는 '점'과 '선'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노드와 노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냐에 따라서 community를 이루기도 하지.. 2014.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