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비엔나 오스트리아에서 1주일간 살아보기사는 이야기/여행일기 2016. 9. 22. 13:38
박사학위를 마친지 반년 정도가 지났다. 졸업한 연구실에서 1년 반 정도는 더 있을 수 있고, 그렇게 하기로 교수님과 약속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은 해외 포닥을 전투적으로 알아보고 있지는 않다. Job opening에 지원을 많이하더라도 인터뷰 까지 가는 경우가 많지는 않겠지만, 인터뷰에 합격하고 나면 대부분 4-5개월 이내에 일을 시작할 수 있는 포닥을 찾는 채용 공고가 많기 때문이다. 또, 아내와 만 2살이 안된 아이와 함께 외국에서 생활하는 것을 결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것 같다. 여러 지인들은 "외국에 가게되면 살아지게 된다." 라며 응원해 주셨지만, 막상 제주도 갈때 말고는 비행기를 타본적이 없는 아내가 외국에서 두려움 없이 잘 생활할 수 있을 것인가? 는 조금 다른 문제 인것 같다는 생각..
-
야외 포스터 세션 / Resting State Brain Connectivity at University of Vienna사는 이야기/학회참석 2016. 9. 22. 13:22
2009년에 폴란드 Krakow에서 열린 Europhysics 학회가 나의 첫 해외 학회였다.첫 해외 학회를 동료없이 혼자 참석해서 그런지, 학회에 혼자 오는 것이 여럿이 함께하는 것보다 더욱 익숙하다. 물론 모두 함께 올때는 나름의 재미가 있다. 제네바에서 있었던 OHBM 학회가 그랬다.여튼 2009년 첫 학회 부터 지금까지 야외 포스터 세션은 처음이다. 야외 포스터 세션은 아마도 비엔나 대학에서만 가능하지 않을까? 정말이지 낭만이 있는 포스터 세션이다. 포스터 보다가 지치면 앉아서 쉬기도 하고, 동료와 자연스럽게 복잡한 포스터 세션장으로부터 빠져나와 벤치에 앉아서 토의도 할 수 있고.
-
19개월 아이 대소변 훈련하기사는 이야기/육아일기 2016. 9. 12. 11:04
아이를 키우는 것은 부모에게 많은 순간 기쁨이 되지만, 또 많은 순간 인내가 필요하기에 "양가적" 감정이 동반됩니다. 하지만, 누워만 있던 아이가 기어다니고, 일서서 걷고, 또 엄마 아빠가 말하는 것을 따라하기 시작하면 너무 신기하고 놀라는 일이 더욱 많아집니다. 저희 아가는 16~17?? 개월쯤부터 두글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따라하기 시작하더니, 따라하는 단어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요즘(19개월)에는 두글자 단어를 최대한 아이의 눈높이에서 나열하는 것으로 간단한 의사소통이 될정도니, 얼마나 신기한지 모르겠어요.가급적 아이와 몸으로 놀아주고 싶지만,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뽀통령이라는 것이 그렇게 위대한 프로그램인지는 아기를 키워본 사람만 알 수 있습니다. 저희 아기는 ..
-
PublicationsAbout 2015. 11. 15. 10:05
Publications Google Scholar Citation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hl=en&user=lBVSwSc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Scopus Profilehttps://www.scopus.com/authid/detail.uri?authorId=35233777000 Publications in Neuroscience (*: corresponding author, †: first or equally contributed author)[As a first author or corresponding author]Sunghyon Kyeong† and Dae Hyun Kim, Lesion based Stru..
-